티스토리 뷰

그외/공지

이 블로그의 용어와 표기법

느린악장 2013. 7. 23. 12:41

 이 블로그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표기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순서는 한글 표기의 가나다순입니다. 수시로 내용을 추가 · 수정하고 있습니다. 참고사항은 목록의 맨 끝에 나와 있습니다.




 [ㄱ] 게샤 (gesha) : [아프] 커피 품종. 에티오피아의 지역 이름(Gesha : Keffa Zone에 속한 Woreda)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는 'gesha', '게샤'로 정하였습니다. (×게이샤, geisha)


 [ㄱ] 깔루아 (Kahlúa) : [관용(es)] 레시피 부재료. 판매자인 페르노리카코리아의 한글 표기 '깔루아'를 따랐습니다. (에스파냐어 표기법에 따르면 '칼루아'가 되어야 합니다)


 [ㄴ] 나리뇨 (Nariño) : [es] 커피 산지. '나리뇨'로 정하였습니다. (×나리노)

 ① 뇨 : ñ의 '니'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습니다. (표기 일람표의 하단 설명)

 ※ 에스파냐어의 n과 ñ은 분명히 다른 것이므로 둘을 구분해야 합니다. na, nu, no는 '나', '누', '노', ña, ñu, ño는 '냐', '뉴', '뇨'로 표기하는 것이 옳습니다. '나리노'는 ñ을 n으로 간주하고 표기한 결과일 것입니다. (사족이지만, 칵테일 이름 Piña colada도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피나 콜라다'가 아닌 '피냐 콜라다'로 표기하는 것이 옳습니다)


 [ㄷ] 디아만테 (diamante) : [es] 커피 산지(농장 이름). '디아만테'로 정하였습니다. (×디아망떼, 디아망테)

 ① 만 : 자음 앞이나 어말의 n은 'ㄴ'으로 적습니다. (표기 일람표)

 ② 테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표기의 원칙)


 [ㅁ] 마이크로 로트 (micro lot) : [en] 커피 생산/유통 방식. Lot을 '로트'로 표기한 예를 참조하여 '마이크로 로트'로 정하였습니다. (×마이크로 랏)


 [ㅁ] [taste] : 맛은 짠맛, 신맛, 단맛, 쓴맛, 감칠맛의 5종류만 존재합니다. 하지만 저는 노트에 '포도(맛)', '단호박(맛)'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해당되는 향(aroma) 내지 향미(flavor)가 '맛'에 가깝게 느껴졌음을 의미합니다.


 [ㅁ] 머스커바도 (muscovado) : [en] 레시피 부재료. '머스커바도'로 정하였습니다. (×마스코바도, 무스코바도, 머스코바도, 머스커바도)

 ① muscovado의 발음기호는 [ˌmʌskəˈvɑːdəʊ](Oxford Dictionaries), [ˌməskəˈvā(ˌ)dō, -vä(ˌ)-](Merriam-Webster online) 정도가 확인되는데, mʌ/mə는 '머'에, kə는 '커'에 대응하므로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표기는 '머스커바도'가 됩니다. (표기 일람표)


 [ㅁ] 모레니냐 포르모자 (Moreninha Formosa) : [pt-BR] : 커피 산지. '모레니냐 포르모자'로 정하였습니다. Aurea 농장의 커피 이름에 붙는 이름입니다. (×모레니아 포모사, 모헤니아 포모사)

 ① 모레 : r은 어두나 n, l, s의 뒤에 오는 경우에는 'ㅎ'로 적고 그 외에는 'ㄹ, 르'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② 니냐 : nh의 '니'가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습니다. (표기 일람표의 하단 설명)

 ③ 포르모자 : s는 모음 사이에서는 'ㅈ'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ㅂ] 바라짜 엔코 (Baratza Encore) : [관용] 커피 분쇄 도구. 판매자인 코디아의 한글 표기 '바라짜 엔코'를 따랐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바라차 앙코르'가 되어야 합니다)


 [ㅂ] 베네피시오 (Beneficio) : [es] 커피 산지(농장 이름). '베네피시오'로 정하였습니다. (×베네피치오)

 ① 시 : c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는 c를 'ㅅ'으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ㅂ] 복합적인 맛 [complexity] : 커피 향미. 산미/쌉쌀함/달달함 외의 다양한 맛으로, 감칠맛일 수도 있고, 잡맛일 수도 있고, 바디감에 영향을 주는 그 외의 복잡미묘한 맛일 수도 있습니다.


 [ㅂ] 봉 파스토르 (Bom Pastor) : [pt-BR] 커피 산지(농장 이름). '봉 파스토르'로 정하였습니다. (×봄 파스톨, 봄 파스토르)

 ① 봉 : 어말의 m은 받침 'ㅇ'으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② 토르 : 어말의 r은 '르'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ㅂ] 부르봉 (bourbon) : [fr] 커피 품종. '부르봉'으로 정하였습니다. 이 품종은 프랑스령 레위니옹(Réunion)이 원산지이고, 이 섬의 구칭은 부르봉 섬(Île Bourbon)이었습니다. 따라서 커피 품종을 가리키는 bourbon은 프랑스어로 취급하여 '부르봉'이라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버번, 버본)


 [ㅅ] 산 안토니오 차기테 (San Antonio Chaguite) : [es] 커피 산지(농장 이름). '산 안토니오 차기테'로 정하였습니다. (×산 안토니오 샤기테, -챠기테, -차귀테 ; 샌 안토니오 샤기테, -챠기테, -차귀테)

 ① 산 : 에스파냐어의 a는 'ㅏ'로 적습니다. (표기 일람표)

 ② 차 : 에스파냐어의 cha는 '차'로 적습니다. (표기 일람표, 표기 세칙)

 ③ 기 : 에스파냐어의 gu는 i앞에서 'ㄱ'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따라서 gui는 '귀'가 아닌 '기'가 됩니다.

 ※ 포르투갈어에서는 ch를 [ʃ]로 발음하며, 일부 에스파냐어의 방언에서도 ch를 [ʃ]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과테말라의 중미 에스파냐어(방언) 발음은 그러하지 아니하고, 이 블로그에서는 관용 표현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므로, 표기를 '차기테'로 정한 것입니다. 참고로 ch를 [ʃ]로 발음하는 에스파냐어 방언은 안달루시아 서부 방언, 뉴멕시코주 에스피냐어(New Mexican Spanish, 뉴멕시코주 북부와 콜로라도주 남부 등에서 사용), 비격식 파나마 스페인어, 비격식 칠레 스페인어 등이 있습니다.


 [ㅅ] 시다모 (Sidama) : [아프] 커피 산지. 한글 표기에는 문제가 없지만, 로마자 표기는 Sidama가 맞습니다. (×Sidamo)


 [ㅅ] 시치우 (sítio) : [pt-BR] 포르투갈어로 '(작은)농장, 농원'.

 ① 치 :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i앞이나 어말 e 및 어말 -es앞에 오는 t는 'ㅊ'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② 우 : 어말의 -os나 o는 '우'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 브라질 농장 이름에 들어간 Sítio는 '시치우'로 표기하는 게 맞고, 포르투갈 지명에 들어간 Sítio는 '시티우'로 표기하는 게 맞습니다. ①의 단서조항은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한하기 때문입니다.


 [ㅇ] 아시엔다 (hacienda) : [es] 에스파냐어로 '농장, 농원'. (×하시엔다, 하치엔다)

 ① 아 : 에스파냐어의 h는 묵음입니다. (표기 일람표)

 ② 시 : c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는 c를 'ㅅ'으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ㅇ] 아포가토 (Affogato) : [it] 레시피. '아포가토'로 정하였습니다. (×아포가또, 아포카토)

 ①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표기의 원칙)


 [ㅇ] 에티오피아 (Ethiopia) : 커피 산지. '에티오피아'로 정하였습니다. (×이디오피아)


 [ㅇ] 엔코 (Encore) : [관용] 커피 분쇄 도구. (→바라짜 엔코)


 [ㅇ] 엘 나랑호 (El Naranjo) : [es] 커피 산지(지명, 농장 이름). 용례를 따라 '엘 나랑호'로 정하였습니다. (×엘 나란조, 엘 나란호)

 ※ 기계적으로 에스파냐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나란호'가 됩니다. 하지만 실제 에스파냐어 발음을 한글로 받아적으면 '나랑호'가 됩니다. 이는 nc, ng의 경우만 정하고 nj, nq 등의 경우를 정하지 않은 표기 세칙의 허점 때문인데, 국립국어원은 표기 세칙을 수정하는 대신 용례 중심으로 표기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레콩키스타, 콩키스타도르도 결국 표기 세칙 수정 대신 용례 추가/수정으로 해결되었습니다)


 [ㅇ] 엘 실렌시오 (El Silencio) : [es] 커피 산지(농장 이름). '엘 실렌시오'로 정하였습니다. (×엘 실렌치오)

 ① 시 : c 다음에 모음 e와 i가 올 때는 c를 'ㅅ'으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ㅇ] 엘 인헤르토 (El Injerto) : [es] 커피 산지(농장 이름). '엘 인헤르토'로 정하였습니다. (×엘 인제토, 엘 인헤르또)

 ① 헤 : 에스파냐어는 모음 앞의 j를 'ㅎ'로 적습니다. (표기 일람표)

 ② 토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표기의 원칙)


 [ㅇ] 오악사카 (Oaxaca) : [es] 커피 산지. 용례를 따라 '오악사카'로 정하였습니다. (×오아하카, 오아하까, 오악사까, 와하카, 와하까)

 ① 악사 : x가 모음 앞에 오되 어중일 때는 'ㄱㅅ'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② 카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표기의 원칙)

 ※ 멕시코 남부 에스파냐어(방언)에서 Mexico를 '메히코', Texas를 '테하스'로 발음하는 등 x를 'ㅎ'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으며, Oaxaca는 멕시코 남부에 위치하니 이러한 발음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오아하카'는 현지인의 발음과 외래어 표기법 사이에서 적당히 절충한 표기고, '와하까'는 현지인의 발음에 가장 가까운 한글 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블로그에서는 관용 표현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므로, 표기를 오악사카'로 정한 것입니다.


 [ㅇ] 이르가체페 (Yirgachefe) : [아프] 커피 산지. '이르가체페', 'Yirgachefe'로 정하였습니다.


 [ㅈ] 제즈베 (cezve) : [tr] 커피 추출 도구. 국립국어원의 터키어 표기법 시안에 맞추어 '제즈베'로 정하였습니다.


 [ㅈ] 짐마 (Jimma) : [아프] 커피 산지. '짐마', 'Jimma'로 정하였습니다.


 [ㅊ] 차기테 (Chaguite) : [es] 커피 산지(농장 이름). (→산 안토니오 차기테)


 [ㅋ] 카쇼에이라 (Cachoeira) : [pt-BR] 커피 산지(농장 이름). (×카쵸에이라)

 ① ch는 '시'로 옮기며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는 합쳐서 한 음절로 적습니다. (표기 일람표 및 표기 일람표의 하단 설명)


 [ㅋ] 카페 라테 (caffè latte) : [it] 레시피. '카페 라테'로 정하였습니다. (×카페 라떼)

 ① 테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표기의 원칙)

 ※ 국립국어원 용례에 따르면 '카페라테'와 같이 붙여 써야 합니다.


 [ㅋ] 캐러멜 마키아토 (caramel macchiato) : [en, es] 레시피. '캐러멜 마키아토'로 정하였습니다. (×카라멜 마키아토 ; 카라멜-, 캬라멜- ; -마끼아또, -마키아또, -마끼아토)

 ※ 국립국어원 용례에 따르면 '캐러멜마키아토'와 같이 붙여 써야 합니다.


 [ㅋ] 콜드 브루 커피 (cold brew coffee) : [en] 커피 추출법. brew의 발음이 [brúː]인 점을 감안하여 '콜드 브루 커피'로 정하였습니다. (×콜드 브류 커피)


 [ㅋ] 크리스털마운틴 (Crystal Mountain) : 커피 산지(브랜드). '크리스털마운틴'으로 정하였습니다. (×크리스털 마운틴, 크리스탈 마운틴, 크리스탈마운틴)

 ① 크리스털 : 국립국어원 외래어 용례를 따랐습니다.

 ② 크리스털마운틴 : 용례의 크리스털레이크(Crystal Lake), 크리스털시티(Crystal City)등을 참고하여 크리스털과 마운틴을 띄어쓰지 않았습니다.


 [ㅌ] 타라주 (Tarrazu) : [es] 커피 산지. '타라주'로 정하였습니다. (×따라주, 따라쥬)

 ① 타 :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표기의 원칙)

 ② 주 : 외래어 표기에는 'ㅈ, ㅊ' 다음에 이중모음을 쓰지 않습니다. (<참고>)


 [ㅌ] 터키시 커피 (Turkish coffee) : [en] 커피 추출법. '터키시 커피'로 정하였습니다. (×터키쉬 커피)

 ① 어말의 [ʃ]는 '시'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ㅌ] 트레스리오스 (Tres Rios) : [es] 커피 산지. '트레스리오스'로 정하였습니다. (×트레스 리오스, 트레리오스)

 ① 가운데의 '스'를 생략할 이유가 없습니다. (남미 지역 에스파냐어에서 dos, tres의 s를 h에 가깝게 발음하는 경우는 있으나, 외래어 표기법 규정을 우선 적용하여 '스'를 표기하였습니다)

 ② 트레스리오스를 붙여 쓴 것은 용례의 '트레스히우스'(Tres Rios, 브라질의 도시 이름, 브라질 에스파냐어가 적용되면 이렇게 표기됩니다)를 참고한 것입니다.


 [ㅍ] 파젠다 (fazenda) : [pt-BR] 포르투갈어로 '농장, 농원'.


 [ㅍ] 포르모자 (Formosa) : [pt-BR] 커피 산지(농장 이름). (→모레니냐 포르모자)


 [ㅍ] 푸쉬락 (Pushlock) : [관용(en)] 판매자인 닥터만커피의 한글 표기 '푸쉬락'을 따랐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푸시락'이 되어야 합니다)


 [ㅍ] 핀카 (finca) : [es] 에스파냐어로 '농원, 농장'.


 [ㅎ] 핸드 소트, 핸드 소팅 (hand sort, hand sorting) : 커피 가공 방식(?). 손으로 결점두나 이물질 등을 골라내는 처리 과정을 말합니다. (×핸드픽, 핸드 피킹)

 ※ 핸드픽, 핸드 피킹은 잘 익은 체리를 골라 따는 수확 방식으로, 위와 같은 처리 과정을 가리키는 말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ㅎ] 히메네스 (Jimenez) : [es] 커피 산지(농장 이름). '히메네스'로 정하였습니다.

 ① 히 : 모음 앞의 j는 'ㅎ'로 적습니다. (표기 세칙)

 ② 스 : 어말의 z는 '스'로 적습니다. (표기 일람표)




 참고


 1. 주요 약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en] : 영어 표기 세칙이 적용되는 표기.

[es] : 에스파냐어 자모, 에스파냐어 표기 세칙이 적용되는 표기.

[pt-BR] : 포르투갈어 자모, 포르투갈어 표기 세칙,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는' 단서 조항이 적용되는 표기.

[아프] : 아프리카의 언어.

[관용] : 이미 굳어져 널리 쓰이는 표현이나, 상호·상품명을 따른 표기.

(×) : 이 블로그에서 틀린 것으로 간주하는 표기.

(→) : →항목을 참조하시오.


 2. 영어, 에스파냐어, (브라질) 포르투갈어로 된 이름 등은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예외적으로 관용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3. 아프리카의 언어로 된 이름 등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는 표기를 골랐습니다.


 4. 레시피, 음료 이름, 기타 이와 비슷한 것은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였습니다.


 이탈리아어 단어 caffè는 '카페'로, latte는 '라테'로 표기됩니다. 여기까지는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caffè latte를 '카페 라테'와 같이 띄어 쓸 것이냐, '카페라테'와 같이 붙여 쓸 것이냐는 문제가 됩니다. 외래어 표기법에는 띄어쓰기가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껏해야 '해', '섬', '강', '산' 등이 외래어에 붙을 때에는 띄어 쓰고, 우리말에 붙을 때에는 붙여 쓴다 정도가 지정되어 있을 뿐입니다)

 그래서 외래어의 띄어쓰기는 국립국어원의 용례에 의존하거나, 이를 바탕으로 유추하는 식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일단 국립국어원은 카페라테, 캐러멜마키아토, 녹차라테, 고구마라테, 더치커피, 인스턴트커피와 같이 레시피, 음료 이름, 기타 이와 비슷한 것을 붙여 쓰고 있습니다. (카페 라테, 캐러멜 마키아토처럼 띄어 쓰지 않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붙여 쓰다 보면 메뉴가 길어질수록 가독성이 나빠진다는 점입니다. 국립국어원의 용례를 바탕으로 유추하면 iced로 시작하는 음료 이름도 붙여쓰기를 해야 될 텐데, 그러면 iced caramel macchiato는 '아이스캐러멜마키아토'가 됩니다. 음료 이름은 이보다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스타벅스 음료 중에 아이스셰이큰스위트오렌지블랙티레모네이드(iced shaken sweet orange black tea lemonade)가 있습니다. 재료가 더 들어가거나 기법이 더 복잡해지면 이름은 더 길어질 겁니다.

 레시피, 음료 이름, 기타 이와 비슷한 것은 확장될 여지가 매우 큽니다. 붙여쓰기를 원칙으로 하다가 몇 단어 이상부터는 띄어 쓰기로 정하는 것도 애매합니다. (캐러멜마키아토와 아이스캐러멜마키아토, 화이트초콜릿모카와 화이트초콜릿모카프라푸치노처럼, 한 단어씩 더 붙은 음료 이름의 쌍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이러한 것들을 최대한 띄어 쓰기로 정하였습니다. 저에게는 가독성을 확보하는 일이 더 중요하고, 가독성을 유지하려면 긴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써야 하며, 일관성을 유지하려면 긴 용어든 짧은 용어든 모두 띄어 쓰는 편이 낫기 때문입니다. 카페 라테(caffè latte)도, 캐러멜 마키아토(caramel macchiato)도, 이보다 긴 이름도 띄어 쓸 것입니다.

댓글